박성재 전남도의원, 기후위기 전략 ‘노지 스마트농업 모델’ 구축 당부
검색 입력폼
전라남도

박성재 전남도의원, 기후위기 전략 ‘노지 스마트농업 모델’ 구축 당부

노지 스마트농업, 단발성 아닌 전남형 모델로 키워야

박성재 전남도의원, 기후위기 전략 ‘노지 스마트농업 모델’ 구축 당부
[한국뉴스1-박시현 기자]전남도의회 박성재 의원(더불어민주당·해남2)은 지난 4월 16일 농업기술원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전남도 농업기술원이 추진하는 ‘노지 스마트기술 융복합 실증모델 확산 사업’과 관련해 “기후위기와 인력난 시대에 대응하는 중요한 농업전환 전략이지만, 농업인이 실질적으로 체감하고 접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업은 농촌진흥청 공모사업으로 신안군이 선정되어 추진되며, 총 2년간 40억 원(국비 40%, 시군비 40%, 자부담 20%)이 투입되어 대파 중심 노지 100ha 내외 면적에 관수시설, 병해충 영상진단, 스마트 관측센서, 농업용 로봇 등 차세대 스마트농업 기술이 집약적으로 도입된다.

박성재 의원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노지 농업 전환은 시의적절한 정책 방향”이라며 “전남도가 전국을 선도하는 노지 스마트농업 기반을 만들 수 있도록 보급과 실용화 성공까지 행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실증단지 조성 과정에서 ▲기반시설(농로 등) 사전 확보, ▲자부담(20%) 과중, ▲향후 농가 전환 확대 전략 부족 등을 세세히 지적하며 “단순 기술 실험 수준에서 머무르지 않고, 실제 농업인이 체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구조로 반드시 전환되어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특히 “100ha 내외 면적의 실증 대상지에 스마트 관수시설을 설치하면서, 기초적인 농작업로 정비 등 기반조치가 선행되지 않으면 향후 유지관리에도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며 현장 기반을 고려한 단계적 사업추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자부담 비율이 20%에 달하는 현재 구조로는 실제 농가의 참여 유인이 떨어질 수 있다”며 농민 부담을 최소화한 실효성 중심의 지원 구조 설계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박 의원은 “노지 스마트농업은 단순한 실험이 아니라, 앞으로 우리 농업이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구조 전환의 첫걸음”이라며, “이번 실증사업이 일회성 사업이 아닌, 전남형 스마트농업 모델로 정착될 수 있도록 중장기 로드맵과 기술표준 마련, 농가 확산 전략까지 체계적으로 수립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시현 기자 knews111@daum.net
전라남도 주요뉴스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