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남구, 가로환경관리원 ‘체력 인증제’로 뽑는다 체력 검증 방식 변경, 5개 자치구 중 첫 시도 박시현 기자 knews111@daum.net |
2025년 04월 25일(금) 11:20 |
![]() |
체력 측정 준비 모습 |
체력 검증의 공정성 확보와 몸 상태가 좋지 않은 응시자가 체력 측정에 참여해 안전사고 발생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조치이다.
남구는 25일 “올해부터 가로환경관리원을 채용할 때 응시자 부담을 덜기 위해 기존에 사용했던 체력 검정 방식을 대신해 국민체력 100 인증제를 도입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새로 도입한 국민체력 100 인증제는 평가의 공정성과 함께 채용 절차 간소화에 따른 예산 절감, 응시자 부담 경감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특히 체력 검증의 주체가 국가기관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해 체력과 건강을 측정한다는 점이 새 검증 체계를 도입한 결정적 이유이다.
실제 국민체육진흥공단은 대한민국 국민의 건강 증진 차원에서 개개인의 체력을 측정해 그 결과를 알려주는 국민체력 100 인증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 모든 데이터를 가로환경관리원 채용에 활용하기로 한 것이다.
국민체력 100 인증제는 참가자의 건강 상태 결과를 아주 세밀하게 제공한다. 건강 체력과 운동 체력을 살펴보기 위해 근력을 비롯해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까지 6개 분야를 테스트한다.
반면에 기존의 체력 검정은 100m 달리기와 윗몸 일으키기 횟수를 합격 기준으로 삼았다. 업무 수행에 적합한 체력 정도를 해당 기록만으로 평가하기에는 연관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당일 컨디션이 좋지 않은 응시자가 중도에 탈락하는 문제도 있었다.
남구는 새 검증 방식 도입에 따라 향후 가로환경관리원 채용시 응시자의 체력 검증 과정을 별도로 실시하지 않고서도 해당 지원자의 건강 체력과 운동 체력 2개 분야의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응시자가 자신의 컨디션을 조절한 뒤 적합한 시기에 맞춰 국민체력 100 인증제에 참여할 수 있어서 채용 시험에 따른 응시자 부담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남구 관계자는 “국가 공인 기준 적용으로 공정성 논란에 휘말릴 여지도 없고, 체력 측정 장비 대여와 장소 섭외에 필요한 예산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고 밝혔다.
박시현 기자 knews111@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