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무경 전남도의원, 전남 곳곳서 싱크홀 발생...잠재된 위험,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검색 입력폼
전라남도

최무경 전남도의원, 전남 곳곳서 싱크홀 발생...잠재된 위험,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최근 7년간 43건 발생...GPR 등 정밀 탐사 장비 도입 통한 선제적 대응 필요

최무경 전남도의원
[한국뉴스1-박시현 기자]전남도의회 안전건설소방위원회 최무경 의원(더불어민주당, 여수4)은 지난 4월 16일, 제389회 임시회 도민안전실 소관 2025회계연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최근 서울 강동구, 부산, 경기 광명시 등에서 잇따라 발생한 싱크홀 사고와 관련하여, 전라남도 차원의 선제적 예방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지하안전정보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최근 7년간(2018~2024) 전라남도 내에서는 총 43건의 싱크홀(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상ㆍ하수관 손상(8건), ▲도로다짐 불량(8건) ▲굴착공사 부실(7건), ▲기타 매설물 손상(5건) 등이 지적됐으며, 주요 발생지역은 여수(7건), 완도(5건), 순천ㆍ보성(각 4건) 도심지역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날 최무경 의원은 “서울 등 일부 대도시는 GPR(지하 레이더 탐사기)을 보유하고 있지만, 전남은 아직 관련 장비를 갖추지 못한 상황”이라며, “탐지 깊이에 한계가 있는 GPR 외에도 보다 정밀한 최신 지반탐사 기술 도입을 적극 검토해, 도내 취약지역에 대한 선제적조사ㆍ점검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싱크홀 사고는 단순한 도로 파손이 아니라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재난”이라며, “도민안전실이 전남 재난 안전 대응의 중심 컨트롤 타워로서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강영구 도민안전실장은 “도민 안전을 위한 정밀 점검 체계와 예방 중심의 관리 기반을 강화하겠다”며, “지반탐사 장비 도입의 필요성과 효율성을 면밀히 검토해, 도내 안전 사각지대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시현 기자 knews111@daum.net
전라남도 주요뉴스

오늘의 인기기사